![]() ![]() |
|
![]() 중독되는 아이들 |
|||
지은이 : 송지혜, 박소영, 김은주, 박성열, 김희연, 홍지선, 박민현, 이태엽 | ||||
출판사 : 글항아리 | ||||
출판일 : 2025년 05월 |
![]() ![]() |
![]() | ![]() |
■ 책 소개
“아이들은 점점 중독되고 있다
중독에 취약한 뇌를 우리는 보호할 의무가 있다”
내 아이는 스마트폰에 중독된 걸까
정신건강의학과 여덟 명의 조언
요즘 부모들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라면 의사들은 단연 이것을 꼽는다. “아이가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 같아요.” 때로 이런 질문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하루에 10시간씩 하는데 중독이 아닐 수 있나요? 미디어 때문에 틱이 발생하기도 하나요? 지금이라도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말라고 해야 할까요……. 아무리 고민해도 또렷한 답이 떠오르지 않는 건 정말로 정답이 없어서다. 미디어 세상을 미리 겪어본 인류는 없다. 모두에게 처음이니 시행착오를 통해 형성된 직관도 없다. 그러나 가장 믿을 만한 조언은 있다. 중독된 아이들을 직접 만나고, 최신 연구를 검토하면서 지식을 쌓은 의사들의 조언이다.
이 책은 위와 같은 질문을 매일같이 받아온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여덟 명이 집필한 것이다. 이들이 소속된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의 ‘속마음 시리즈’는 그동안 부모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문제들을 다뤄왔다. 친구 없는 자녀들의 고민을 다룬 『아이들이 사회를 만날 때』, 학습 능력 향상법을 다룬 『공부하는 뇌, 성장하는 마음』에 이어 이번 『중독되는 아이들』에선 미디어 문제를 논한다.
간결하고도 단호한 의사들의 말은 믿음직하다. 모호한 서술로 자의적인 해석을 요하는 구절은 없다. 저자들은 명확하고도 구체적인 서술로 정보를 일상과 연결시킨다. 예컨대 ‘미디어를 최대한 멀리하는 게 좋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적어도 생후 18개월까지는 미디어 노출을 일절 금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하루에 몇 시간 이상 게임을 하면 중독’이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게임 중독은 시간보단 영향 면에서 따져봐야 할 개념으로, 물질 중독과 행위 중독 가운데 무엇에 더 가까운지 연구 중’이라고 말한다. 답변들 사이사이에 소소한 팁들도 있다. 영상통화는 괜찮은지, 미디어를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할지, 사용 시간은 어떻게 모니터링하면 좋은지……. 책은 미디어의 모든 면을 아우르고 있다.
■ 작가정보
송지혜 외
해솔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연세대에서 경영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뒤 중앙대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수련을 마치고 내 아이를 잘 키워보려는 지극히 개인적인 욕심으로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전임의 과정을 밟았다. 지금은 나를 만나러 와주는 아이들에게 더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고 있다.
기획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 목차
머리말_김은주
1장 미디어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육아생활 | 송지혜
전자기기 사용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피하고 싶었다 | 시작은 텔레비전이었다 | 아이들은 자라고 나는 전자기기를 제한하기 시작했다 | 모든 채널마다 밀고 당김이 생기더라 | 드디어 스마트폰이다 | 나의 육아 동지들에게
2장 디지털 네이티브의 뇌 | 박소영
유아기 미디어, 얼마나 두려워해야 하는가 | 뇌의 기초 공사 시기 | 건강한 두뇌 발달을 위한 원칙 | 미디어가 아이의 뇌에 미치는 영향 | 현명한 미디어 사용을 위해 기억해야 할 세 가지 | 아이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 | Q&A
3장 초등학생 공부와 미디어: 친구일까, 방해꾼일까? | 김은주
초등학생의 현실과 발달 과제 | 아이의 일상에 침투하는 미디어 | 읽기 능력은 퇴보하고 있을까 | 아이의 특성에 따른 읽기 교육 전략 | 생성형 AI가 만들어주는 새로운 길 | 부모와 아이가 함께
4장 중독에 취약한 청소년의 뇌 | 박성열
청소년기의 시작, 사춘기 | 청소년은 왜 그럴까 | 청소년을 유혹하는 디지털 미디어 | 청소년 중에서도 유독 취약한 | 청소년기 미디어 사용의 실제 | 디지털 미디어는 중요한 도구다
5장 아이들의 감정, SNS 속에서 흔들리다 | 김희연
SNS의 선물 같은 면 | 화려한 연결의 이면 | 우울을 공유하다 | 경계를 허무는 따돌림 | 틱톡 속 완벽함의 함정 | 가짜 영상, 진짜 상처 | 밤을 삼킨 SNS
6장 게임에 빠진 아이들 | 홍지선
아이들은 왜 게임에 빠져들까 | 인터넷 게임 중독이란 | 게임 중독은 정말 ‘중독’일까 | 게임 중독에 더 취약한 아이들이 있다면 | 어떻게 나타나며,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 인터넷 게임이 발달에 긍정적일 수도 있을까
7장 디지털 세상 속 아이들을 노리다 | 박민현
디지털 세상의 그늘 | 금전부터 개인정보까지 | 가장 짙은 그림자, 디지털 성범죄 | 디지털 범죄의 상처 | 상처에서 벗어나려면
8장 미디어 사용의 현재와 우리가 앞으로 할 수 있는 것 | 이태엽
미디어 사용의 현황 | 미디어 사용에 대한 생각 | 미디어 사용을 규제해야 할까 | 아이 대상 광고와 디지털 리터러시 | 우리 가족만의 미디어 사용 계획 만들기
![]() | ![]() |
![]() |